| ||||||||||||||||||||||||||
9급(타의입산) : 이 부류는 산보다 그림틀(T,V)을 선호하야 휴일이면 리모콘이 유일한 장난감인바, 회사에서 또는 모임에서 결행된 산행이 있으면 어쩔수 없이 따라 나서는 사람들임. 멀쩡한 하늘에서 비가 억수같이 쏟아지기를...그래서 산행이 취소 되기를 은근히 바라는 놀부 심보가 있느니라. 8급(증명입산) : 이 부류는 산을 좋아해서 찾는것이 아니라 사진을 찍어러 가느니라. 애써 걷기는 커녕 물 좋고 경치 좋으면 아무데나 가리지 않고 호치키스 찍듯이 찰칵찰칵 사진을 찍는다. 경관이 좋은곳을 배경으로 증명사진을 찍는 버릇이 있으며 그 사진을 가지고 한국의 산은 다 가봤다는 자료로 활용하느니라. 7급(섭생입산) : 이 부류는 오로지 "묵"어러 산을 가느니라. 한 배낭 가득히 묵거리를 챙기고 계곡을 찾아 퍼질고 앉아서 식탐을 즐겨 하느니 엄청 묵었는데도 음식이 절반이나 남아 다시 지고 내려오며 "아 나는 식욕이 왜 이리 없는지 몰라" 하면서 자신을 한탄하는 인간들이니라. 6급(중도하산) : 이 부류는 산행을 하긴하되 꼭 중도에서 하산을 하느니라. 그리고 제 다리 튼튼하지 못함을 탓하지 아니하고 꼭 뫼만 높다하는 인간 이니라.뭐 꼭 정상을 올라가야 되나? 올라가면 누가 밀가루 배급이라도 주나?하고 자기 합리화나하는 인간이니라. 5급(화초입산) : 이 부류는 내내 집에만 있다가 꽃피는 춘삼월이나 만산홍엽으로 불타는 경치좋은 계절이면 갑자기 산에 미치는 형 이니라. 제 얼굴 못난 까닭에 꼭 예쁜 꽃이나 단풍을 끼고 사진을 찍느니라. 4급(음주입산) : 이 부류는 그래도 산을 좀 아는 인간 이니라.산행을 마치면 꼭 하산주를 해야 산행이 끝난것으로 생각하며,산을 열심히 찾는 이유가 성취감 뒤에 따르는 맛난 하산주때문 일 경우가 허다함. 이 부류는 술의종류,알콜도수, 값의 고저를 막론하고 그저 양만 많으면 된다는 주보형 이니라. ******3급+ : 정상주도 좋아함 ***설송 남자들 대부분이 여기에 해당함. 3급(선수입산) : 이 부류는 산을 마라톤 코스로 생각하고 산을 몇개 넘었다느니 하루에 이렇게 많이 걸었다느니 하는것을 자랑하려 산을찾는 인간 이니라. 그러나 달리기 시합에 나가면 늘 꼬랑지를 하느니라. 이런 인간을 따라 나서면 대개 굶느니라. 먹을때도 번갯불에 콩 구워먹듯 해치우고 오로지 걷느니라.물론 중간 휴식 없음. 2급(무식입산) : 이 부류는 산을 좀 아는 까닭에 비가오나 눈이오나 바람이부나 제사가 있으나 아이가 아프나 자기가 계획한 산행은 꼭 하는 스타일 이니라. 폭풍이 몰아쳐 "오늘산행 취소지요?"하고 물으면 "니는 비 온다고 밥 안묵나?"하고 바로 되묻는 무식함이 돋 보이는 부류니라. 1급(야간입산) : 이 부류는 시간이 없음을 한탄하며 주말은 물론 퇴근후 밤에라도 산을 오르는 인간형이니라. 산에 가자고 하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는 산 병 초기증세 이므로 등산 초단이 되는 것이니라. 산정에 올라 달이라도 뜨면 늑대같이 소리도 지르고 노래도 하고 악기 연주도 하며 발정을 하는 스타일이니라. 1단(면벽입산) : 이 부류는 걷는것이 성에안차 바위타기를 즐겨 하느니라. 틈도 없는 바위에 온 몸을 비벼 넣으려는듯 바위가 무슨 애인이라도 되는듯 안고 할키고 버팅기고 온갖 퍼포먼스를 다 하느니라. 이 경지까지오면 산쟁이는 대학을 졸업할때까지 책 열권도 못 읽었다는말이 사실일수 있다는것을 깨닫게 되느니라. 2단(면빙입산) : 이부류는 날씨가 추워지기를 학수고대하는 시기니라.얼음도끼와 쇠발톱을 꺼내놓고 폭포가 얼어 붙기를 축원하다가 결빙 되었다는 소식만 들리면 만사 제쳐놓고 달려가 얼음에 몸을 던지는 때 이니라. 빙판길에 가족이 넘어져 다치더라도 겨울은 추워야 된다고 주장하는 시기니라. 3단(합계입산) : 이 부류는 8급부터 시작하여 면벽과 면빙 수도를 끝낸후 조갈증이나서 더 높고 어려운 산이 없나를 모색하는 시기니라.산에 관한 정보가 있는 외국원서를 번역한다고 평소 안하던 공부를 하는 시기가 되느니라. 산병 중증 환자로 저 스스로 격리되어 운수납자 흉내를 내어 고행길로 들어서게 되느니라. 4단(설산입산) : 이 부류는 드디어 설산 히말라야로 떠나게 되느니라.생즉필사요,사즉필생이라 설산을 대상으로 알듯 모를듯한 비장한 출사표를 내고 도전하는 시기니라. 설산으로 간다는 얘기는 들엇는데 돌아왔다는 소리가 없는 경우가 종종 있느니라. 5단(자아입산) : 이 부류는 드디어 산심을 깨닫고 진정으로 넘어야할 산은 마음속에 있음을 알게 되느니라,따라서 히말라야의 흡인력에 취하여 있었던 "사람과 산"의 관계를 알게 되느니라. 이 때에는 국가에서 주는 체육훈장 같은것을 받을때도 있으므로 산에 대한 집념이 비로소 결실을 거두는 때이기도 함. 6단(회기입산) : 이 부류는 산의 본질적 의미는 자신을 발견 하는데 있다는 머리 쥐나는 철학을 깨닫고 다시 우리나라의 낮은 산으로 임하는 때에 해당되느니라. "걷는자만이 오를수 있다"는 지극히 평범한 원리를 어렵게 깨우침으로서 평소 실실 웃는 하회탈 모습으로 표정이 바뀌느니라.사람이 좋아짐. 7단(불문입산) : "산 아래 산 없고 산 위에 산 없다"라는 평등 산 사상의 경지에 이름으로서 비로소 입신의 경지에 이르게 되느니라. 묻지마 관광같이 산에 오르는 것을 묻지마 라는 선 문답 으로 유유자적 산을 즐기는 시기를 말 하느니라. 8단(소산입산) : 이 부류는 작은산도 엄청 크고 높게 보는 안목이 있으니, 그런 작은산을 즐겨찾는 시기가 되었느니라. 그러나 죽어도 힘들어서 높은산을 못 올라 간다는 소리는 안 하느니라. 다리에 힘이 빠지는것에 비례해 입 에는 양기가 올라 남산 산행같이 쬐그만 산행이 끝나고 하산주 시간이 되면 본격적으로 조디 산행이 시작됨. 과거를 회상하는 시간이 길어지는것이 특징이느니라. 9단(입산금지) : 이미 죽어 코 딱지 만한 산 ............아니 봉분아래 깔려 있느니라. 출처 : 타이젬 자유게시판 삼산선비 |
'등산 정보(걷기,호흡법,스틱사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뷰] <설악산과의 대화> 저자 레인저 '신용석'... (0) | 2009.11.18 |
---|---|
자! 배워보자. 등산 배낭 가볍게 싸는 4가지 원칙! (0) | 2009.11.11 |
[등산학교 명강사의 족집게 강좌] 복장 - 원종민... (0) | 2009.10.06 |
등산자 지켜야할 건강지침 5가지... (0) | 2009.09.25 |
안전하게 즐기는 등산 요령... (0) | 2009.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