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산준비
* 등산시 꼭 챙겨야 할 기본 준비물과 계절마다 따로 준비해야할 것들에 대해 알아봅시다. |
|
|
|
|
|
|
|
|
등산의 종류
등산활동의 분류는 시대의 흐름과 장비의 발달, 다양한 사람들의 야외 활동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종류도 늘어나고 세분화 되고 있다. 사람들이 즐기는 등산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어떻게 부르는 지 올바른 용어를 알아보자. 1. 백패킹 2. 트레킹 3. 등산 4. 등반 5. 종주 6. 단독등산 7. 집단 또는 단체 등산
좋은 배낭을 사면 등산이 수월해질까요? 배낭을 꾸리는 방법은 코스형태나 코스의 거리 날씨 등에 따라 그에 맞는 짐으로 달라져야합니다. 체크리스트는 필수! 일반적으로 침낭이나 옷가지들을 배낭 아랫부분에 넣어서 배낭을 내려 놓을 때 받는 충격을 흡수해서 다른 장비들의 파손을 방지합니다. 그 위에 스토브나 취사도구 등을 넣고 더 윗부분에는 먹을 것들을 둡니다. 그래야 기름이 새어나와도 음식물은 조금이라도 안전 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자주 사용 하게 될 물건들은 배낭의 가장 상단이나 뚜껑에 두어 사용이 용이하도록 합니다. 기타 짐들은 용도가 비슷한 물건끼리 분류해서 따로 꾸려두면 좋습니다. 또, 비나 눈 등의 기상변화에 대비해서 방수포로 배낭 안을 감싸거나 배낭을 커버로 씌워 내부의 짐들이 젖지 않도록 합니다.
늦가을은 다른 계절에 비해 등산장비를 꾸리는데 있어서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늦가을 산정은 높이가 해발 1km를 넘을 경우에 겨울날씨처럼 바람이 세고 춥기 때문에 특히 옷가지에 신경을 많이 써야 한다. 방수 등산화와 순모 상의에 방수가 되는 재킷 한 벌 정도는 꼭 준비한다. 가을산행에는 해가 일찍 지기 때문에 여름처럼 산행계획을 세우면 산행중에 해가 떨어져 낭패를 볼 수도 있다. 그러므로 산행은 일찍 시작하고 혹시 모르니 헤드램프나 휴대용 플래시를 꼭 준비해야 한다. 또, 한가지 주의할 뱀이다. 가을철 독사는 긴 겨울철 동면을 위해서 먹이를 많이 먹어둬야 하기때문에, 뱀에 물리면 치명적이다. 또, 잘 도망가지도 않고 나뭇가지 색깔과 흡사해 눈에 잘 띄지도 않는다.뱀에 물렸을 땐 물린곳을 깊이 째고 피를 낸다음 심장에 가까운 쪽을 묶어준다 옷가지
막영 장비
옷가지
옷가지 걷는데 불편이 없고 시원하게 옷을 입는 것이 좋습니다. 챙이 넓고 바람이 잘 통하는 모자를 준비하며 얼굴에는 자외선 차단 크림을 바릅니다. 옷가지를 비닐 주머니에 넣는 등 비에 대한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갈아입을 옷이나 체온을 유지할 수 있는 옷을 준비하고, 비바람을 막아 주는 덧옷은 꼭 가지고 다닙니다. 비오는 날에는 비를 맞으면서 등산을 해도 걷는데 불편하지 않도록 반소매 티셔츠에 반바지 차림이 가장 좋습니다. 하루 등산을 할 때는 얇고 가벼운 바지에다 티셔츠 하나 정도를 걸치고 하루 이상 등산할 생각이면 파일 재킷이나 얇은 스웨터 한 장을 더 챙기도록 합니다. 등산하면서 이미 입고 있던 옷이 젖었다면 젖은 채로 다니다가 잠자기 전에 덧옷으로 갈아입는 것이 현명한 방법입니다. 땀이나 빗물을 닦기 위해 등산용 손수건을 챙기는 것도 잊지 맙시다. 등산화 신발은 가볍고 걷기 편한 리지 등반용 등산화가 좋습니다. 가까운 산의 짧은 거리를 등산할 때는 일반 운동화도 큰 무리가 없습니다. 계곡 등산용 샌들을 신고 등산을 해서는 안됩니다. 막영 장비 무게를 줄이기 위해 비박용 플라이만 가지고 다니기도 합니다. 비박용 플라이를 준비할 때는 막끈도 넉넉하게 준비합니다. 천막은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인 것이 좋으며 모기장이 달려 있는 천막으로 준비합니다. 침낭은 홑겹 여름침낭이나 침낭커버만 준비해도 됩니다. 깔판은 반드시 준비하도록 합니다. 스펀지 깔판보다는 등산용 은박깔판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취사 장비 물을 많이 마시게 되므로 물통을 조금 큰 것으로 준비합니다. 여러 날 등산할 때는 인원에 따라 큰 물주머니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먹을 것 쉽게 상하지 않고 오래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 준비합니다. 고기나 해산물 같은 것들은 첫날 해먹는 것이 안전합니다. 집에서 미리 조리를 해 가지고 가면 좀 더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습니다. 햄 종류나 김밥 샌드위치 같은 것들은 쉽게 상하므로 준비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간식도 당분이 많고 오래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 준비합니다. 물은 마시고 싶은 만큼 충분히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 밖의 것 자외선 차단을 위해 선글라스와 선크림도 준비하면 좋습 니다. 피부가 약한 사람은 긴 소매에 칼라가 달려 있는 티셔츠를 준비합니다. 몸에 바르는 모기약이나 모기향도 필수품입니다.
옷가지 준비 1) 낮은 산을 하루 일정으로 산행할 때 3, 4월은 봄과 겨울이 공존하는 시기라고 생각하고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등산 바지에 티셔츠와 남방을 입습니다. 날씨가 아무리 좋더라도 덧옷은 꼭 가지고 갑니다. 2) 큰산을 여러 날 산행할 때 밤이 되면 영하로 떨어지기 때문에 보온을 하기 위한 옷을 꼭 가지고 갑니다. 보온이 잘 되는 바지에 티셔츠 또는 남방을 입고 그 위에 스웨터나 파일 재킷을 걸치도록 합니다. 한낮에는 땀이 나지 않도록 스웨터나 파일 재킷은 배낭에 넣고 다닙니다. 양말은 순모 양말이나 오론처럼 보온이 잘되는 것으로 신는 것이 좋습니다. 갈아 신을 양말은 한 두 켤레 더 챙겨야 합니다. 얇은 장갑 한 켤레와 귀 가리개 또는 얇은 얼굴 모자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막영 장비 준비 무게가 많이 나가고 부피가 큰 겨울용보다는 사계절용 천막을 준비합니다. 습기가 올라오는 것을 막기 위해 바닥에 깔 비닐을 준비하는 것이 좋으며 천막 안에 깔 은박 깔판과 개인용 스펀지 깔판을 따로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원이 많고 1박 2일 정도 등산할 때는 가스등이나 휘발유 등을 준비 합니다. 여러 날 계속 옮겨 다니면서 야영을 해야 할 때는 무게를 줄이기 위해 양초를 챙겨둡니다. 취사 장비 준비 인원이나 일정 먹을 것에 따라 꼭 필요한 것만 준비하도록 합니다. 하루 등산을 할 때는 도시락이나 빵을 먹도록 하여 취사도구를 모두 빼는 것이 좋습니다. 인원이 많은 경우에는 비상시를 생각해서 가벼운 가스 스토브와 작은 코펠을 하나 정도 준비합니다. 바람막이나 프라이팬 칼 도마 같은 것은 한곳에서 여러 날 묵어 갈 때만 준비합니다. 반찬통이나 양념통은 가벼운 플라스틱으로 준비하며 양념은 비닐 랩에 싸거나 필름통 같은 곳에 담아 가지고 다녀야 양념이 새지 않습니다. 물통이 없는 경우에는 플라스틱 생수병을 쓰도록 합니다. 보온병에 뜨거운 꿀 차나 연유를 타 가지고 다니면 편리합니다. 먹을 것 준비 하루 등산을 할 때는 행동식으로 준비해 장비와 무게를 줄입니다. 등산 일정과 인원 차림표에 따라 모자라거나 남지 않도록 먹을 만큼만 준비합니다. 쌀은 깨끗이 씻어서 잘 말려 가지고 갑니다. 야채도 다듬어 씻은 다음 용도에 알맞은 크기로 썰어 비닐에 담습니다. 먹을 것을 포장할 때는 국이나 찌개의 종류에 따라서 필요한 재료를 알맞은 양 만큼씩 섞어서 한 비닐에 같이 담습니다. 그리고 비닐에 먹을 날짜와 아침거리인지 저녁거리인지 적어놓는 것이 좋습니다. 그 밖의 것 지도와 나침반은 꼭 가지고 다닙니다. 등산 계획서와 볼펜 같은 필기도구와 신분증도 챙겨 넣는 것이 좋습니다. 온도계와 거리 측정기는 꼭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필요한 경우 챙겨둡니다. 고도계와 기압계 겸용 시계는 있으면 편리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등산할 때는 연락이 용이하도록 무전기를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정이 길고 사람이 많을 때는 비상시를 대비하여 의약품 세트를 준비하도록 합니다. 몇 사람 안될 때는 꼭 필요한 의약품만 준비합니다.
산으로 떠나고 싶은 마음이 생기셨나요? 들뜬 마음만으로 우왕좌왕하다 보면 가장 챙겨야 하는 것들을 빠뜨리기 십상이죠. 산행에 꼭 필요한 준비물은 철저히 준비해야 더 즐거운 산행이 될 수 있습니다. 산에 올라갔는데 챙겨오지 않은 준비물 때문에 고생하게 된다면 결코 즐거운 산행이 될 수 없겠죠? |
'등산 정보(걷기,호흡법,스틱사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산 장비... (0) | 2009.02.12 |
---|---|
등산 요령... (0) | 2009.02.12 |
등산 효과... (0) | 2009.02.12 |
겨울 등산장비 구입및 착용 요령... (0) | 2009.02.12 |
등산 배낭 착용방법과 순서... (0) | 2009.02.12 |